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MoMA 일제강점기 영화 7선 - 하] '내선 일체' 정책 선전

코리아소사이어티와 뉴욕현대미술관(MoMA)이 오는 28일부터 2월1일까지 일제강점기 한국 영화제를 연다. 1936년부터 1943년까지 제작됐던 한국영화 7편이 상영된다. 지난 주 ‘미몽’(1936) ‘군용열차’(1938) ‘집없는 천사’(1941)에 이어 나머지 4편을 소개한다. ◇어화(1939) 인순은 고기잡이 배를 타는 아버지가 풍랑에 휩쓸려 돌아오지 않자 장주사에게 빌린 빚을 갚기위해 첩으로 들어갈 처지에 놓인다. 이를 거부하고 도시로 나간 인순은 기생이 되었다가 삶을 비관해 자살을 시도한다. 목숨을 구한 인순은 귀향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다. 평화로운 어촌으로 대변되는 자연과 운명의 힘에 순응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작품. 인순의 삶을 통해 전통적인 한국 전통 여성상과 신 여성상을 대비한 것이 흥미롭다. 감독은 안철영. ◇지원병(1941) 1938년 실시된 일본의 조선인 지원병 제도를 선전하는 어용영화. 내선일체 정책과 군량미 공급을 위한 쌀 증산 계획의 일환인 개간사업에 대한 선전도 삽입되고 있다. 일제에 대한 애국심이 충만한 농부의 아들 춘호, 약혼녀 분옥, 춘호를 사랑하는 지주의 여동생 영애, 그리고 분옥을 사랑하는 춘호 친구 창식이 엮는 4각 멜로 드라마. 그러나 러브 스토리보다는 춘호가 황국신민으로서 전쟁 지원병이 된다는 사실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감독은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소원을 통일’을 작사한 안석영이다.(‘어화’와 동시 상영. 1월29일 오후 8시, 2월1일 오후 1시) ◇반도의 봄(1941) 영화 ‘춘향전’의 제작 과정을 통해 당시 영화산업과 영화인들의 수모를 반영한 작품. 여주인공은 촬영 도중 하차하고, 제작비는 바닥이 났고, 전주는 외면한다. 제작을 맡은 영일은 공금에 손을 대다가 교도소로 간다. 영화 속의 영화를 보는 재미가 솔솔하다. 크레인쇼트로 찍은 장면 등 역동적인 카메라 움직임도 주목거리. 함흥서 태어나 일본 니카츠영화사에서 조감독을 지낸 이병일 감독의 데뷔작. 이 감독은 광복 후 USC에서 영화를 공부한 후 귀국해 ‘시집가는 날’로 아시아영화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1월28일 오후 6시, 31일 오후 1시) ◇조선해협(1943) 일본은 1940년 제작조건과 검열을 대폭 강화하는 조선영화령을 반포했다. 1942년엔 모든 영화사를 관제 영화사 조선영화제작(주)로 통폐합한다. ‘조선해협’은 조선영화제작사의 작품이다. 부모가 반대하는 결혼을 한 성기는 형이 전사하자 군에 지원한다. 전쟁에서 부상당한 성기와 힘들게 생계를 꾸려가다 홀로 아기를 낳은 후 병으로 죽어가던 아내가 조선해협을 사이에 두고 통화하며 가족간의 화해가 이루어진다. 결국 참전이 곧 가족의 화합과 사랑의 완성이라는 주제를 강조한 선전영화다. 광주에서 태어나 교토의 도시샤대학을 졸업한 박기채 감독의 연출작. 박 감독은 한국전쟁 후 최인규 등 영화인들과 함께 납북됐다.(1월28일 오후 8시, 21일 오후 3시) ▶MoMA: 11 West 53rd St.(212-708-9400) www.moma.org. 박숙희 기자 [email protected]

2009-01-27

[MoMA 일제강점기 영화 7선-상]…암흑기 민초의 삶 스크린으로 본다

영화는 그 시대의 얼굴이다. 영화를 통해 그 시대의 사회상과 사람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는 한국영화의 태동기이자 암흑기였다. ‘내선일체’의 정책으로 한민족 말살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1936년부터 1943년까지 제작됐던 한국영화 7편이 뉴욕에 온다. 친일영화로 터부시됐던 상영작들은 암흑기 조선인들의 고뇌를 담고 있다. 코리아소사이어티와 뉴욕현대미술관(MoMA)이 오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일제강점기 영화제를 연다. 상영작품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미몽(1936)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이자 여섯번째 발성영화. 남편과 어린 딸을 버리고 돈과 육체적인 욕망을 쫓다가 대가를 치르게되는 애순의 이야기를 그렸다. 1930년대 톱 스타 문예봉이 정절과 모성애가 강조되던 시기에 나타난 현대여성으로 등장하고 있다. 당시의 서울 거리, 백화점과 기차역, 다방과 호텔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분단 후 ‘북에는 최승희, 남에는 조택원’이라 불릴 만큼 유명했던 무용수 조택원의 춤도 주목거리다. 감독 양주남은 1935년 한국 최초의 발성영화 ‘춘향전’(감독 이명우)의 조감독을 맡은 후 ‘미몽’으로 감독 데뷔했다. 해방 후 ‘종각’‘모정’ 등을 연출했다. ◇군용열차(1938)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더욱 강화된 철도 안보와 ‘내선일체’ 정책의 일환으로 제작된 최초의 어용영화. 조선의 성보영화사와 일본의 도호영화사가 합작한 이 영화엔 ‘우호적인’ 일본인이 등장하며, 일본의 정책을 배합시키는 친일영화의 전형이다. 결국은 일본 충성심이 주제로 드러난다. 고대하던 군용열차를 몰게된 점용의 룸메이트인 원진은 오빠를 보살피기위해 기생이 된 영심과 약혼한 사이다. 원진은 영심을 기생으로부터 빼내기위해 스파이에게 군용열차의 운행시간 정보를 판다. 메이지대학 유학 후 KAPF(조선 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에서 활동하던 평론가 서광제 감독의 유일한 연출작이다. ◇집 없는 천사(1941) 향린원을 세워 거리의 고아들을 보살폈던 방성빈 목사의 실화가 원작이다. 비참한 식민지의 삶을 그려 심한 검열을 받기도 했다. 방 목사의 전도 활동과 남매의 가족찾기의 이야기 속에 어린이들의 천연덕스런 연기가 돋보인다. 평북 영변에서 태어나 형 최완규와 함께 고려영화사를 설립했다. 1937년 배우 김신재와 결혼했고, 1939년 ‘국경’으로 감독 데뷔. 일제강점기 말에 친일영화를 제작하다 광복영화 걸작 ‘자유만세’를 연출했다. ▶뉴욕현대미술관(MoMA): 11 West 53rd St. 212-708-9400. www.moma.org. 박숙희 기자 [email protected]

2009-01-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